cloud(82)
-
[IaC] IaC란?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요즘 클라우드 기술 스택 중 가장 많이 요구되는 IaC에 대해 함께 공부해볼 예정입니다. 다양한 실습을 해보기에 앞서 IaC란 무엇인지부터 아는 것이 우선일 것 같아 이번 글을 준비해보았습니다! IaC란? IaC란, Infrastructure as Code의 줄임말로 코드를 통해 인프라를 관리하고 프로비저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개발자들이 개발을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듯인프라 담당자들도 개발을 통하여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 IaC의 장점 최근들어 IaC를 사용하는 이유는 장점이 명확하고, 뛰어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렇다면 IaC의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1) 배포 속도 향상 - 이미 구성해둔 코드를 사용하여 배포만 진행하면 되므로 기본..
2023.11.06 -
[AWS] CodePipeline 수동승인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CodePipeline에서 수동승인 과정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동승인이란? 수동승인이란, 코드 변경으로 인해 Pipeline이 작동될 경우 다른 사용자가 작업을 수동으로 승인/거부하여 무분별한 배포를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때문에 1인 개발자라면 배포 실수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여러명이 협업하는 작업이라면 상급자의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스테이지 추가 우선 수동승인 과정을 추가할 파이프라인을 편집하여 스테이지를 추가합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Build와 Deploy 사이에 Manual_Approval이라는 스테이지를 추가해보았습니다. 타 SNS에서 수동승인 알람이 전달되도록 원할 경우, (선택 사항)으로 기입되어 있는 ARN과 URL..
2023.11.06 -
[AWS] RDS Blue/Green 배포를 통한 무중단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RDS를 Blue/Green 방식을 사용하여 무중단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lue/Green 배포란? Blue/Green 배포란 무중단 배포 기법 중 하나로, 이전 버전(Blue 환경)과 새 버전(Green 환경)을 구성한 상태에서 Green이 성공적으로 배포가 완료된 것을 확인한 후 Blue에서 Green으로 완전히 트래픽을 이전시키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RDS Blue/Green 배포의 특징 RDS를 Blue/Green 형식으로 배포했을 경우 몇가지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장점] 1) 버전간 호환으로 인한 문제 미발생 2) 무중단 배포 가능 3) 손쉽게 롤백 가능 4) 엔드포인트 유지 [단점] 1) Blue, Green 배포 동안..
2023.11.03 -
[AWS] Lambda를 사용한 EC2 자동 스케쥴링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오늘은 EC2를 원하는 시간대에 자동으로 중지, 시작하는 자동 스케줄링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자동 스케줄링 생성 방법개발용 서버 혹은 특정 시간에만 사용이 필요한 서버를 24시간 켜두기에는 비용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원하는 요일, 원하는 시간에만 서버를 켜둠으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노려보는 실습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IAM Role 생성Lambda가 CloudWatch 로그를 남기거나, EC2를 중지/시작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때문에 Lambda에게 부여할 Role을 생성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우선, Lambda 기반의 Role을 생성합니다. 해당 Role 안에 2개의 Pol..
2023.08.16 -
[Kubernetes] EKS 다루기(2) - Service(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Service와 Ingress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Pod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Service란?Service란, Pod에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접근할 수 있도록 노출하는 방법입니다. 즉, 생성/삭제되는 Pod에 고정 IP를 갖는 Service를 제공하여exec 명령어로만 애플리케이션 동작 여부를 확인했던 이전과는 달리,IP와 포트로 정상구동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Service는 크게 3가지(Cluster IP, NodePort, LoadBalancer)로 구성되어 있으며,차례대로 하나씩 실습하며 무슨 특징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Cluster IPClusterIP란, Service의 기본 ..
2021.11.22 -
[Kubernetes] EKS 다루기(1) - Pod, Replicaset, Deployment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EKS에서 사용되는 용어를 알아보고,지난 실습에서 생성한 EKS 클러스터를 사용하여 이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YAML이란?YAML이란, 데이터 표현 양식의 한 종류입니다. 앞으로 진행되는 EKS의 실습은 대부분 YAML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적용시키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때문에 "EKS를 잘 다룬다"는 것은 EKS의 개념을 숙지하고, 이를 YAML파일로 녹여내는 것을 의미한다고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앞으로 사용될 YAML 파일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apiVersion: 오브젝트 생성을 위해 사용중인 쿠버네티스 API 버전 2) kind: 오브젝트 종류 (ex. Pod, Namespace, Role ..
202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