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82)
-
[AWS_RDS] MySQL: wait_timeout & interactive_timeout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AWS RDS(MySQL)에서 파라미터 값(wait_timeout)을 수정해도 적용되지 않는 에러에 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ERROR 발생 RDS 파라미터 그룹에서 wait_timeout에 대한 값을 수정하였습니다. 하지만 변경사항에 대하여 쿼리문을 통해 확인할 경우 정상적으로 수정되지 않는 경우 발생했습니다. 원인 RDS의 파라미터 이외에 wait_timeout에 영향을 주는 변수가 RDS내부에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interactive_timeout 값을 수정한 후, 다시 wait_timeout 값을 조회해보니 wait_timeout 값이 이를 따라간 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show variables like '%timeout'; wait_..
2021.01.06 -
[AWS EC2] 48. ELB Access Log
ㅇ 액세스 로그 > ELB의 옵션 기능 중 하나로, 로드 밸런서에 대한 로그를 수집하여 지정한 S3 버킷에 저장 >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활성화시킬 경우 비용 발생 ㅇ 액세스 로그 활성화 > [EC2 서비스] - [로드밸런서] - [설명] 탭 최하단에 있는 "속성"에서 [속성 편집] 선택 > 액세스 로그 활성화 탭을 통해 활성 여부 선택 가능 > S3의 AWSLogs 폴더 내부에 CloudTrail Log가 저장됨 ㅇ 액세스 로그 분석 > 서버로 액세스 로그 복사 aws s3 cp s3://(버킷 경로)/ /(로그 저장 경로) --recursive --exclude "*" --include "*(원하는 시간: ex. 20201029T08 - 2020년 10월 29일 08시)*" > .gz으로 ..
2021.01.04 -
[AWS Route53] 47. Record 마이그레이션
ㅇ Route53 Record 마이그레이션 > 한 계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수많은 레코드들을 json파일로 제작하여, 이를 타 계정 혹은 타 호스트 영역으로 마이그레이션 시키고 싶을 경우, CLI를 통해 마이그레이션이 가능 ㅇ Record 마이그레이션 방법 > Route53 정보에 접근 가능한 역할을 가진 User 혹은 인스턴스에서 해당 계정에서 가지고있는 레코드 정보를 추출 aws route53 list-resource-record-sets --hosted-zone-id "HOST ID" > "추출 파일 이름" > 레코드 목록은 다음과 같이 출력됨 cat test.zone > 아래 형식과 비슷하도록 json파일로 수정 * Name이 중복될 경우 InvalidChangeBatch 에러가 발생하므로 주의 {..
2021.01.01 -
[AWS] 46. Apache 서버 인증서 변경 및 적용
ㅇ 보안서버? > 개인정보를 암호화하여 송수신하는 기능이 구축된 웹서버를 의미 ㅇ 인증서 교체(Apache) > .pfx 파일이 있는지 확인 1) .crt 파일 추출하기 > openssl 명령어를 사용하여 pfx파일을 crt파일로 분리 openssl pkcs12 -in "xxx.pfx" -nocerts -nodes -out "xxx.crt" * 패스워드를 물어볼 경우, pfx.txt 파일에 있는 패스워드 입력 2) .key 파일 추출하기 > openssl 명령어를 사용하여 pfx파일을 key파일로 분리 openssl pkcs12 -in "xxx.pfx" -nocerts -nodes -out "xxx.key" * 패스워드를 물어볼 경우, pfx.txt 파일에 있는 패스워드 입력 > /etc/httpd/co..
2020.12.31 -
[AWS] Athena를 활용한 로그 분석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AWS에서는 CloudTrail, ELB 등의 다양한 로그를 S3에 적재하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이슈가 발생했을 경우 원하는 기록을 사용하여 이를 분석할 수 있지만,S3에는 단편적인 데이터가 압축파일로 저장되어 있어 이를 하나하나 다운 받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AWS Athena를 사용하여 간단한 쿼리문을 사용하여 로그를 분석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Athena란?Athena란, 표준 SQL을 사용해 S3에 저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쿼리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Athena의 특징1) 서버리스 아키텍처: Athena는 서버리스 아키텍처로 인해 별도 인프라 생성 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2) 표준 SQL 지원: Athena..
2020.12.30 -
[AWS] CI/CD 환경구축(4) - CodePipeline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AWS를 사용하여 CI/CD 환경을 구축하는 방법 마지막, 네 번째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CodePipeline이란? CodePipeline이란, 앞서 구성한 CodeCommit, CodeBuild, CodeDeploy를 하나로 통합해주어 이에 대한 변경사항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자동으로 배포를 진행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CodePipeline은 총 5가지 스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파이프라인 설정 (2) 소스 스테이지 추가 (3) 빌드 스테이지 추가 (4) 배포 스테이지 추가 (5) 검토 그러나 앞선 실습으로 저희는 CodePipeline에 필요한 요소를 모두 구성해둔 상태이므로, 2~4번 스테이지 추가 스탭은 만들어둔 요소를 선택하는 정도로 생각..
2020.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