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2(7)
-
[AWS] EventBridge를 사용한 EC2 자동 스케쥴링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정해진 시간에 EC2가 ON/OFF(중지) 되도록 스케줄링이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전 글에서는 Lambda 코드를 직접 작성하여 구현했지만,이번에는 더 간단한 방식으로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전 방식일전에 실습해보았던 Lambda를 사용하여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1) EC2에 시간 태그 설정(ex. AutoSchedule/9-18) 2) 매 시간마다 EventBridge 실행 3) EventBridge에서 Lambda 실행 4) Lambda를 통해 대상 EC2 스케줄링 동작 그런데 이는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존재했습니다.불필요하게 매 시간 수행되는 Lambda와 EC2마다 태그가 필..
2024.09.11 -
[AWS] S3에 AMI 백업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AWS 계정을 정리하거나, 온프레미스에도 AMI 백업이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경우, S3에 AMI를 백업하고 이를 원하는 곳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S3에 AMI를 백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번 실습을 위해 필요한 사전 준비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사전 준비사항 1) AMI 이미지 : 백업에 사용될 이미지 준비는 필수겠죠!? 2) S3: 백업 이미지가 저장될 S3 버킷도 만들어주세요! 3) EC2 : CLI 사용을 위해 AMI와 S3에 대한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S3로 AMI를 복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일 계정 백업 ]1) AMI 생성백업이 필요한 AMI의 이미지 ID를 확인해주..
2024.09.11 -
[AWS EC2] 56. LVM 볼륨 확장하기
ㅇ LVM 확장(인스턴스에 중지, 세션끊김 등의 영향 X) 1. 기존 볼륨을 통한 확장 > 앞서 LVM으로 생성한 20G 볼륨을 30G로 확장 > 콘솔 상에서 30G로 정상 확장되었음을 확인 가능 > 명령어를 통해서도 xvdb가 30G로 확장되었음을 확인 가능 lsblk >물리 볼륨의 크기 조정 pvresize /dev/xvdb > 물리 볼륨 세부 정보 확인 pvs > 볼륨 그룹 세부 정보 확인 vgs > 논리 볼륨 확장 lvextend -l +100%FREE /dev/test/lv1 > 확장 확인 lvs > 하지만 파일 시스템은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적용되지 않았음을 확인 가능 df -hT > 파일 시스템이 ext2 ~ 4일 경우 아래와 같은 명령어를 통해 파일 시스템 크기 조정 (xfs일 경우 xfs..
2021.10.15 -
[AWS EC2] 55. LVM 볼륨 사용하기
ㅇ LVM 볼륨이란? > Logical Volume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관리하기 위한 커널의 한 부분이자 프로그램 > 기존 방식: 파일시스템을 블록 장치에 직접 접근해서 읽기/쓰기 수행 LVM 방식: 파일시스템이 LVM이 만든 가상의 블록 장치에 읽기/쓰기 수행 > 기존 방식에 비해 유연한 용량 조절, 크기 조정이 가능한 스토리지 풀(Pool), 편의에 따른 장치 이름 지정, 디스크 스트라이핑, 미러 볼륨 등을 제공 ㅇ 사전작업 > EC2 생성 시 LVM 볼륨으로 사용할 볼륨도 함께 생성 ㅇ LVM 생성 1. PV 생성 ** PV(Physical Volume): 블록 장치 전체 또는 블록 장치를 이루는 파티션들을 LVM에서 사용할 수 있게 변환하는 것이며, PV는 일정한 크기의 PE(Physical E..
2021.10.14 -
[AWS EC2] 38. AutoScaling 정책
ㅇAutoScaling 정책 설정 > [EC2] - [Auto Scaling 그룹] - [정책을 적용할 AutoScaling 그룹] - [자동 조정]에서 현재 지정된 조정 정책을 확인 가능 1) 대상 추적 조정(Target Tracking Scaling) > 사용 시 AutoScaling 그룹 내에 AutoScaling을 수행할 인스턴스가 포함되어 있어야 함 > AutoScaling 그룹에 포함된 인스턴스의 부하량에 따라 AutoScaling이 적용 됨 > [정책 추가] 선택 후 "대상 추적 조정"을 선택할 경우, AutoScaling이 설정되길 원하는 임계치를 설정 가능 > "대상 추적 조정"의 경우 평균 사용률에 따른 지표 설정만 가능 > 앞서 설정한 지표를 자동으로 분석해 Scale-Out과 Sca..
2020.09.24 -
[AWS] AMI 등록하고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이미 만들어진 EC2를 복제하거나, 비용 과금 이슈로 EC2는 삭제하고 싶지만 내부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보유하고 싶을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경우, AWS에서는 AMI라고 하는 이미지 형식의 저장 방식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AMI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MI(Amazon Machine Image)란? AMI란, 사용용도에 맞게 운영체제와 런타임 등이 미리 세팅되어 있는 컴퓨팅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OS, 원하는 환경 등을 미리 구축한 후, 원할 때에만 사용함으로써 환경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AMI를 생성할수도 있지만 AWS에서..
20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