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82)
-
[Kubernetes] 노드 자원 보호하기(Drain, Cordon, Uncordon)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Pod이 배포되는 노드에 이상이 있을 경우 Pod를 유지한 채 노드를 유지보수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 모든 실습은 AWS EKS 환경에서 진행하였습니다 **Drain이란?쿠버네티스를 사용하다 보면, 노드의 유지보수를 위해 노드를 꺼야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쿠버네티스는 Drain이라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Drain이란, 지정된 노드의 Pod를 모두 다른 노드로 이동시켜 해당 노드를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Drain 사용법 ]우선 디플로이먼트의 Pod 갯수를 3개에서 9개로 증가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 kubectl scale deployment nginx-deployment --repli..
2024.09.26 -
[AWS] EventBridge를 사용한 EC2 자동 스케쥴링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정해진 시간에 EC2가 ON/OFF(중지) 되도록 스케줄링이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전 글에서는 Lambda 코드를 직접 작성하여 구현했지만,이번에는 더 간단한 방식으로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전 방식일전에 실습해보았던 Lambda를 사용하여 스케줄링을 구현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되었습니다. 1) EC2에 시간 태그 설정(ex. AutoSchedule/9-18) 2) 매 시간마다 EventBridge 실행 3) EventBridge에서 Lambda 실행 4) Lambda를 통해 대상 EC2 스케줄링 동작 그런데 이는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존재했습니다.불필요하게 매 시간 수행되는 Lambda와 EC2마다 태그가 필..
2024.09.11 -
[AWS] Route53, S3를 사용한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오늘은 S3에 있는 파일을 사용하여 정적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고,Route53을 통해 도메인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S3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DB와 연계되는 동적 웹 사이트가 아닌, 단순한 정적 웹 사이트의 경우S3를 사용함으로써 웹 호스팅이 가능하며, 이는 EC2 한 대를 띄우는 것 보다 훨씬 저렴하단 특징이 있습니다.또한, S3를 사용하는 만큼 내구성이 좋아 동시에 수 천, 수 만 트래픽이 몰려도 과부화가 발생하지 않는 특장점이 있습니다. 공지 및 서버 점검 페이지 등을 띄울 때에 많이 사용되므로 사용법만 알아두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이제, Route53과 S3를 활용하여 정적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2024.07.16 -
[AWS] Slack을 사용한 CodePipeline 알림 설정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CodePipeline과 Slack을 연동하여 Pipeline의 알림을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과정에선 AWS Chatbot이라는 서비스가 사용되므로, Chatbot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AWS Chatbot이란? Chatbot이란, Slack 또는 Amazon Chime과의 ChatOps를 설정하고 다양한 AWS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대화영 에이전트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AWS 관리 도구로 전환하지 않고도 AWS 리소스를 안정하게 구성하고, 작업을 실행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됩니다. 1) Chatbot - Client 생성 AWS Chatbot 서비스의 Configured clients탭에서 Configure new cli..
2024.04.15 -
[AWS] S3 사용자 제한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특정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S3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3 사용자 제한 S3를 사용하다보면 A 버킷은 user1부터 user10까지만, B 버킷은 user5부터 user15까지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총 두 가지의 방식으로 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S3 버킷의 정책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해당 버킷은 정책에 등록된 User만 사용 가능하도록 허용하므로, 한 버킷에 여러 User에 대한 사용 허가가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두 번째, IAM User의 정책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해당 User는 정책에 등록된 버킷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한 User가 여러 제한된 버킷 사용이 필요할 때..
2023.12.01 -
[AWS] S3 수명 주기를 통해 버킷 비우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S3 버킷 내부에 객체가 너무 많고 용량이 클 경우, 콘솔이나 CLI를 통해 버킷을 비우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S3 생명주기 기능을 사용해 버킷의 내용물을 한번에 비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명주기(LifeCycle)란? 생명주기(LifeCycle)란, S3 내부 객체가 비용 효율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S3 객체 그룹에 적용하는 일련의 규칙입니다. 이를 통해, 오래된 객체들은 더욱 비용이 저렴해지도록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할수도 있으며 오늘 진행할 실습처럼 모든 객체가 한번에 삭제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S3에 사용되는 요금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꼭 알아두면 좋을 기술입니다! 1) 수명주기 규칙 확인 오늘의 실습..
2023.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