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82)
-
[AWS Route53] 24. Route53
ㅇ Route53? > AWS에서 제공하는 DNS(Domain Name Service) ㅇ Route53 생성 > [Route53 서비스] - [등록된 도메인] - [도메인 등록] 선택 >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선택하고 [확인] 선택 후 [장바구니에 추가] 선택 > 자신의 연락처 및 정보 기입 > [약관 동의] 선택 > 도메인 등록 후 메일이 전송된다는 문구 > 이후 도메인 등록이 완료되기까지 "도메인 등록 진행 중"이라는 문구가 출력됨 > 지정한 메일로 해당 DNS가 제작되었음을 확인해주는 메일이 전송 > 이후 정상적으로 도메인이 등록되었음을 확인 가능 ㅇ Route53 활용(S3와 연동하기) > 두 개의 S3 버킷 생성 * 실제로 사용되는 버킷은 sweetysnail.co.uk 1. sweetysna..
2020.04.29 -
[AWS VPC] 23. 라우팅 테이블 - Edge Associations
ㅇ Edge Associations? > 기존의 라우팅 테이블에서는 서브넷에서 나가는 경로를 지정하는 데에 사용되었는데, Edge Associations를 통해 모든 수신 및 발신 트래픽을 IGW 또는 VGW에서 특정 인스턴스의 ENI로 라우팅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 예를 들어, 방화벽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턴스가 존재하고 모든 서비스는 해당 방화벽을 거쳐서 IGW 밖으로 나가거나 들어오는 기능을 수행하고 싶을 때, IGW 밖으로 나가는 신호는 라우팅 테이블로 제어하고, IGW 안으로 들어오는 신호는 Edge Associations를 통해 제어가 가능 ㅇ 소스/대상 확인 변경 > 최종 경로에 해당하는 인스턴스는 "소스/대상 확인 변경"을 비활성화 시켜주어야 함 > 최종 경로 인스턴스 선택 후, [작..
2020.04.24 -
[AWS CloudFormation] 22. CloudFormation
ㅇ CloudFormation? > AWS 리소스 설정을 JSON 또는 YAML 형식으로 기재한 템플릿을 만들고, 템플릿을 통해 AWS 리소스를 자동으로 구축하는 서비스 ㅇ CloudFormation 지원 AWS 서비스 Auto Scaling RDS CloudFront Redshift CloudWatch Route53 DynamoDB S3 EC2 SimpleDB ElastiCache SNS Elastic Beanstalk SQS Elastic Load Balancing VPC IAM ㅇ Stack? > CloudFormation은 JSON 또는 ymal 형식으로 작성된 템플릿 파일을 바탕으로 VPC, EC2 등의 리소스를 생성하고 구축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것을 Stack이라고 함 ㅇ CloudForma..
2020.04.20 -
[AWS Lambda] 21. Lambda
ㅇ Lambda? > 서버를 프로비저닝하거나 관리하지 않고도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서버리스 컴퓨팅 서비스 ㅇ Lambda의 특징 1. 필요시에만 코드를 실행하고, 하루에 수천 개의 요청까지 자동 확장 가능 2. 사용한 컴퓨팅 시간에 대해서만 요금을 지불 3. 모든 애플리케이션이나 백엔드 서비스에 대한 코드를 별도 관리 없이 실행 가능 4. 여러 AWS 서비스에서 코드를 자동으로 트리거하도록 설정 5. 기본적으로 VPC 내에서 코드를 실행 ㅇ Inastance 준비 > 인스턴스를 삭제하는 Lambda 함수를 수행할 것이기 때문에 현재 실행중인 인스턴스가 존재해야함 > Lambda 함수를 제작할 때 코드에 인스턴스 ID가 필요 ㅇ Role 생성 > Lambda 함수가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권..
2020.04.14 -
[AWS AppStream] 20-2. AppStream 2.0
ㅇ 순서 1. Image Builder 등록 2. Image Builder 애플리케이션 설치 3. AppStream 2.0 이미지 등록 4. Fleet 생성 5. User 생성 6. Stack 생성 및 Fleet 등록 7. User에 Stack 할당 8. AppStream 2.0 접속 > 이전 순서 보기 ㅇ Fleet 생성 > [AppStream 2.0 서비스] - [Fleets] - [Create Fleet] 선택 > Fleet 이름 설정 > 앞서 생성한 이미지 선택 > Fleet에 대한 스펙 및 타입 설정 * Fleet Type 1) On Demand: 사용할 경우에만 Fleet이 활성화 및 비용이 책정되는 상태 2) Always-On: 항상 Fleet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 > Fleet에 대한 ..
2020.04.13 -
[AWS AppStream] 20-1. AppStream 2.0
ㅇ Appstream 2.0? > 윈도우 OS 상의 필요한 애플리케이션만 Stream 형태로 인터넷 링크를 통해 접속해 사용하는 서비스 > Appstream을 통해 중앙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관리하고, 모든 컴퓨터로 안전하게 제공 가능 > 하드웨어, 인프라 등을 구매하거나 프로비저닝 및 운영할 필요 없이 많이 사용자에게 손쉽게 확장 가능 * 프로비저닝: 준비, 대비를 의미하는 단어로, IT에서 특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서비스 실행부터 서비스 제공받기 전 단계까지 처리되는 절차 의미 ㅇ 순서 1. Image Builder 등록 2. Image Builder 애플리케이션 설치 3. AppStream 2.0 이미지 등록 4. Fleet 생성 5. User 생성 6. Stack 생성 및 Fleet 등록 7. U..
202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