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AWS_Service(33)
-
[AWS] EIP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퍼블릭 IP를 변동되지 않고 고정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EIP란? EIP란, 인터넷 연결을 통해 접속 할 때 사용되는 퍼블릭 IP를 고정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사용 하는 이유는 EIP가 연결되어있지 않은 서버들은 시작중일 경우 퍼블릭 IP가 변하지 않지만, 중지 후 시작을 진행할 경우 퍼블릭 IP가 변경되기 때문입니다. 때문에 EIP를 생성한 후, 이를 인스턴스에 연결함으로써 고정적인 퍼블릭 IP를 소유한 서버를 유지할 수 있게됩니다. 1) EIP 생성 EIP가 연결된 인스턴스를 생성하기 위해선, 우선 EIP를 할당받아야 합니다. VPC 탭 - 탄력적 IP - 탄력적 IP 주소 할당을 선택하여 IP주소를 할당받아 주세요! 탄력적 IP 주..
2020.04.07 -
[AWS] CloudWatch Agent 설치하기(자동)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EC2 내부에 CloudWatch Agent를 설치하는 방법 중, Wizard 기능을 사용한 자동 설치 방식을 실습해보겠습니다! CloudWatch Agent Wizard란? CloudWatch Agent Wizard란, 이전글에서 생성한 방식처럼 config.json을 직접 작성하여 CloudWatch Agent를 설치하는 방식이 아닌 반드시 필요한 몇 가지 선택 사항만을 선택함으로써 간편하게 Agent를 구성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CloudWatch Agent는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지만 수동 설치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수동과 같은 커스터마이징(사용자화) 측면에서는 다소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커스터마이징..
2020.04.06 -
[AWS] CloudWatch Agent 설치하기(수동)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EC2 내부에 CloudWatch Agent를 설치하는 방법 중,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한 수동 설치 방식을 실습해보겠습니다! CloudWatch Agent란? CloudWatch Agent란, AWS 리소스와 사용자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을 AWS CloudWatch에서 실시간으로 지표,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CloudWatch를 통해 기존에 확인이 불가한 리소스 사용량(ex. Memory Utilization, Disk Space Utilization etc..) 또는 애플리케이션 단의 로그 확인이 가능합니다. 1) IAM Role 생성 CloudWatch Agent의 특성상, EC2의 정보(ex. 리소스 사용량 등..)를 수집..
2020.04.03 -
[AWS] ELB(Elastic Load Balancer) - ALB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서버로 들어오는 트래픽에 대해 로드밸런싱 기능을 지원하는 ELB 서비스를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ELB(Elastic Load Balancer)란? ELB란 둘 이상의 가용 영역에서 EC2 인스턴스, 컨테이너, IP주소 등 여러 대상에 걸쳐 수신되는 트래픽을 자동으로 분산하는 서비스를 의미합니다. 로드 밸런서를 사용해 안정성 향상 및 가용성, 내결함성을 향상 시킬 수 있어 24시간 운영이 필요한 서버라면 반드시 사용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서비스 중 하나입니다. ELB는 사용 용도에 따라 NLB, ALB, GLB, CLB(미사용)이 있으며, 각각의 특징에 따라 사용 용도가 구분됩니다. ALB(Application Load Balancer)의 특징 오늘 다룰 AL..
2020.03.19 -
[AWS] AMI 등록하고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이미 만들어진 EC2를 복제하거나, 비용 과금 이슈로 EC2는 삭제하고 싶지만 내부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보유하고 싶을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경우, AWS에서는 AMI라고 하는 이미지 형식의 저장 방식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AMI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MI(Amazon Machine Image)란? AMI란, 사용용도에 맞게 운영체제와 런타임 등이 미리 세팅되어 있는 컴퓨팅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OS, 원하는 환경 등을 미리 구축한 후, 원할 때에만 사용함으로써 환경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AMI를 생성할수도 있지만 AWS에서..
2020.03.18 -
[AWS] EBS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오늘은 AWS EC2 Instance에 볼륨 스토리지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EBS란?EBS란, AWS EC2 인스턴스에 연결하는 스토리지 볼륨을 의미합니다. EBS는 아래와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EC2 인스턴스를 제거해도 데이터가 독립적으로 유지됩니다. 2) EC2 인스턴스에 영향을 주지 않은 채 동적으로 크기, 타입 등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3) 특정 시점의 데이터를 S3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1) EC2 인스턴스 생성앞서 말했듯, EBS는 EC2 인스턴스에 연결된 상태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스턴스가 우선적으로 필요합니다. 인스턴스의 "스토리지" 탭을 통해 현재 연결되어있는 볼륨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실습용으로 준비한 서버에는 하나의 ..
202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