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AWS_Service(33)
-
[AWS] Slack을 사용한 CodePipeline 알림 설정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CodePipeline과 Slack을 연동하여 Pipeline의 알림을 받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이 과정에선 AWS Chatbot이라는 서비스가 사용되므로, Chatbot이 무엇인지부터 알아보겠습니다. AWS Chatbot이란? Chatbot이란, Slack 또는 Amazon Chime과의 ChatOps를 설정하고 다양한 AWS 서비스와의 상호작용을 지원하는 대화영 에이전트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AWS 관리 도구로 전환하지 않고도 AWS 리소스를 안정하게 구성하고, 작업을 실행하는 명령을 실행할 수 있게됩니다. 1) Chatbot - Client 생성 AWS Chatbot 서비스의 Configured clients탭에서 Configure new cli..
2024.04.15 -
[AWS] S3 사용자 제한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특정 사용자만 사용이 가능하도록 S3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S3 사용자 제한 S3를 사용하다보면 A 버킷은 user1부터 user10까지만, B 버킷은 user5부터 user15까지만 사용 가능하도록 설정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이럴 때 총 두 가지의 방식으로 이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S3 버킷의 정책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해당 버킷은 정책에 등록된 User만 사용 가능하도록 허용하므로, 한 버킷에 여러 User에 대한 사용 허가가 필요할 때 유용합니다. 두 번째, IAM User의 정책 수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경우 해당 User는 정책에 등록된 버킷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한 User가 여러 제한된 버킷 사용이 필요할 때..
2023.12.01 -
[AWS] S3 수명 주기를 통해 버킷 비우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S3 버킷 내부에 객체가 너무 많고 용량이 클 경우, 콘솔이나 CLI를 통해 버킷을 비우기에는 시간이 너무 오래 소요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S3 생명주기 기능을 사용해 버킷의 내용물을 한번에 비우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수명주기(LifeCycle)란? 생명주기(LifeCycle)란, S3 내부 객체가 비용 효율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S3 객체 그룹에 적용하는 일련의 규칙입니다. 이를 통해, 오래된 객체들은 더욱 비용이 저렴해지도록 스토리지 클래스를 변경할수도 있으며 오늘 진행할 실습처럼 모든 객체가 한번에 삭제되도록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S3에 사용되는 요금을 절감할 수 있으므로, 꼭 알아두면 좋을 기술입니다! 1) 수명주기 규칙 확인 오늘의 실습..
2023.11.20 -
[AWS] CodePipeline 수동승인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CodePipeline에서 수동승인 과정을 추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수동승인이란? 수동승인이란, 코드 변경으로 인해 Pipeline이 작동될 경우 다른 사용자가 작업을 수동으로 승인/거부하여 무분별한 배포를 방지하는 기능입니다. 때문에 1인 개발자라면 배포 실수를 예방하는 목적으로, 여러명이 협업하는 작업이라면 상급자의 관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스테이지 추가 우선 수동승인 과정을 추가할 파이프라인을 편집하여 스테이지를 추가합니다. 이번 실습에서는 Build와 Deploy 사이에 Manual_Approval이라는 스테이지를 추가해보았습니다. 타 SNS에서 수동승인 알람이 전달되도록 원할 경우, (선택 사항)으로 기입되어 있는 ARN과 URL..
2023.11.06 -
[AWS] RDS Blue/Green 배포를 통한 무중단 업그레이드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오늘은 RDS를 Blue/Green 방식을 사용하여 무중단 업그레이드를 진행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lue/Green 배포란? Blue/Green 배포란 무중단 배포 기법 중 하나로, 이전 버전(Blue 환경)과 새 버전(Green 환경)을 구성한 상태에서 Green이 성공적으로 배포가 완료된 것을 확인한 후 Blue에서 Green으로 완전히 트래픽을 이전시키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RDS Blue/Green 배포의 특징 RDS를 Blue/Green 형식으로 배포했을 경우 몇가지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장점] 1) 버전간 호환으로 인한 문제 미발생 2) 무중단 배포 가능 3) 손쉽게 롤백 가능 4) 엔드포인트 유지 [단점] 1) Blue, Green 배포 동안..
2023.11.03 -
[AWS] Lambda를 사용한 EC2 자동 스케쥴링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오늘은 EC2를 원하는 시간대에 자동으로 중지, 시작하는 자동 스케줄링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자동 스케줄링 생성 방법개발용 서버 혹은 특정 시간에만 사용이 필요한 서버를 24시간 켜두기에는 비용적으로 큰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원하는 요일, 원하는 시간에만 서버를 켜둠으로써 비용절감의 효과를 노려보는 실습을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IAM Role 생성Lambda가 CloudWatch 로그를 남기거나, EC2를 중지/시작하기 위해서는 이에 대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야합니다.때문에 Lambda에게 부여할 Role을 생성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진행되어야 합니다. 우선, Lambda 기반의 Role을 생성합니다. 해당 Role 안에 2개의 Pol..
202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