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i(3)
-
[AWS] S3에 AMI 백업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AWS 계정을 정리하거나, 온프레미스에도 AMI 백업이 필요한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경우, S3에 AMI를 백업하고 이를 원하는 곳에서 다운로드 받는 방식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S3에 AMI를 백업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번 실습을 위해 필요한 사전 준비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사전 준비사항 1) AMI 이미지 : 백업에 사용될 이미지 준비는 필수겠죠!? 2) S3: 백업 이미지가 저장될 S3 버킷도 만들어주세요! 3) EC2 : CLI 사용을 위해 AMI와 S3에 대한 권한이 필요합니다! 이제 본격적으로 S3로 AMI를 복제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동일 계정 백업 ]1) AMI 생성백업이 필요한 AMI의 이미지 ID를 확인해주..
2024.09.11 -
[AWS EC2] 9. Auto Scaling
ㅇ AutoScaling란? > 유저가 몰리거나 빠져나갈 때에 대한 기준을 만들어 두고 그에 따라 Scale In과 Scale Out을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서비스 > Scale In: 불필요한 서버의 대수를 줄려 처리 능력을 감소시키는 것 > Scale Out: 접속된 서버의 대수를 늘려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 ㅇ Load Balancer 생성 > 이전 블로그(로드 밸런서 생성법)를 참고하여 Load Balancer를 생성(단, 다음 2가지 사항은 다르게 제작) * 1단계 VPC 가용영역: Test_VPC가 아닌 기본 VPC로 설정 / Subnet 역시 기본 Subnet 3개 사용 * 5단계 대상 등록: 인스턴스 등록 안함 ㅇ 이미지(AMI) 생성 * 이미지(AMI): 서버가 정상적으로 동작했을..
2020.03.20 -
[AWS] AMI 등록하고 사용하기
안녕하세요, 달콤한달팽이입니다.🐌🫡 이미 만들어진 EC2를 복제하거나, 비용 과금 이슈로 EC2는 삭제하고 싶지만 내부 애플리케이션 정보는 보유하고 싶을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요? 이럴 경우, AWS에서는 AMI라고 하는 이미지 형식의 저장 방식을 제공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AMI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등록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MI(Amazon Machine Image)란? AMI란, 사용용도에 맞게 운영체제와 런타임 등이 미리 세팅되어 있는 컴퓨팅 이미지를 의미합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OS, 원하는 환경 등을 미리 구축한 후, 원할 때에만 사용함으로써 환경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요금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AMI를 생성할수도 있지만 AWS에서..
2020.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