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3. 23. 10:18ㆍAWS
ㅇ RDS?
> AWS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더 쉽게 설치,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
ㅇ 사전작업
> [VPC 서비스] - [RDS 생성할 VPC 우클릭] - [DNS 확인 편집] 선택
> DNS 확인 [활성화] 선택
> [VPC 서비스] - [RDS 생성할 VPC 우클릭] - [DNS 호스트 이름 편집] 선택
> DNS 호스트 이름 편집 [활성화] 선택
ㅇ RDS 생성
> [RDS 서비스] - [데이터베이스] - [데이터베이스 생성] 선택
> [표준 생성] 선택 후, 원하는 엔진 옵션 선택
> 템플릿과 이름, 이름과 비밀번호 설정
* 이름과 비밀번호는 이후 인스턴스에서 RDS 접근 시 사용되므로 꼭 기억해두어야함
> 원하는 크기와 스토리지 선택
> 생성하고자 하는 VPC를 선택하고, [추가 연결 구성]을 선택
> [퍼블릭 액세스]를 "예"로 선택하여 인스턴스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
> VPC 보안 그룹 선택
> VPC 보안 그룹에는 MySQL/Aurora(3306 포트)가 뚫려있어야만 인스턴스에서 접근 가능
> 데이터베이스 인증에서 [암호 인증] 선택
> "사용 가능" 상태인 것을 통해 해당 DB가 정상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 가능
> [생성한 DB 선택] - [연결 & 보안]에서 엔드포인트 확인 가능
* 앞서 기록한 이름, 비밀번호와 더불어 엔드포인트 역시 인스턴스에서 RDS 접근 시 사용됨
ㅇ RDS 확인
>RDS 접속을 위해 mysql 다운로드
yum install -y mysql
> 생성한 RDS로 접속
mysql -u(ID) -p(PW) -h(엔드포인트)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IAM] 11-3. 계정 및 리소스 보호(2) (0) | 2020.03.26 |
---|---|
[AWS IAM] 11-2. 계정 및 리소스 보호(1) (0) | 2020.03.25 |
[AWS IAM] 11-1. IAM (0) | 2020.03.24 |
[AWS EC2] 9. Auto Scaling (0) | 2020.03.20 |
[AWS VPC] 4. Transit Gateway (0) | 2020.03.13 |